★공유하는_디자인정보/디자인_디자이너정보

디자인리서치 [리서치의 종류]

@Design Hae 2021. 9. 16. 11:24
728x90

디자인리서치에서의 오류들

-조사를 한다고 하면 무의식적으로 소비자라이프스타일, 경쟁사제품 및 디자인조사, 트렌드 등을 조사한다고 생각하는 것.

-조사는 알고자하는 것이 분명히 정해진 후에 그것을 알기위하여 조사하여야하는 것.

 

+ 조사된 내용들 중에 자신이 관심 가는 혹은 흥미로운 상황에 몰입하게 되는 경우.

(그래서 이해해야하는 상황을 객관적이고 통합적으로 보지 못하고 지엽적으로 주관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경우도 있음.

조사를 하다가 관심이 가거나 새롭게 알게 되는 것에 흥미가 생겨 원래 조사의 대상이나 범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계속 조사의 대상이 범위가 점차 넓어지는 경우.)

 

 

 

 

올바른 디자인리서치를 위한 방법

-조사목적이 명확해야한다.

어떤사람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 사람을 '조사'한다고 생각하자.

어떤 조사가 가능할까? (소득, 성별, 직업, 거주지, 취미, 키, 몸무게, 성격, 학력, 출신교, 대인관계, 취향, 혈액형 등등 

조사할 수 있는 항목은 너무나도 많다.)

아주 치밀하게 조사한다고 한다면 심지어 그 사람의 머리카락의 가닥수는 이 순간에도 빠지고 있고 자라고 있는지까지.

이렇듯 어떤 사람을 조사하는 것은 거의 끝없이 조사만 할 수도 있다.

심지어 현재가 아니라 과거 뒷조사까지 한다면 그야말로 조사할 내용은 끝없이 나올 것이다.

 

조사의 목적이 그저 학교의 운동회 때 과를 대표하여 뛸 육상선수를 선발하는 것이라면 굳이 많은 자원을 들여

전문적인 조사가 필요 없다.

그러나 국가대표나 프로선수가 시합에 나가기 전에 측정하는 것이라면 아주 정밀하고 전문적인 운동능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듯 조사의 방법, 범위, 분석방법 등이 명확해지기에 보다 효율적이고 유의미한 결과를 얻는 조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디자인리서치의 종류들

-디자인에서의 조사는 이미지, 숫자, 텍스트 등 정보의 유형이 다양하고, 객관적인 자료부터 주관에 의하여

달리 해석되어질 수 있는 자료, 정확함이 중요한 자료, 가능성이 중요한 자료 등 유형, 내용, 목적이 다양하여 그야말로

정보 수집, 분석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대단히 복합적입니다. 

 

 

 

 

1)조사목적에 의한 구분

조사목적은 나무나 다양하여 그 종류를 다 열거하기가 불가능. 그래도 이해를 위해 몇가지 예를 듬

 

-높은 신뢰도가 목적인 경우

조사된 결과가 높은 신뢰도를 목표로 하는 경우는

많은 대상의 조사와 안정적인 분석방법으로 처리된 결과가 중요 (ex : 프로야구선수의 타율, 교통사고율 등이 이에 해당)

 

-경우의 발견이 목적인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저지를 수 있는 실수는 어떤 것이 있는가를 확인하고자할 때는 실수의 

가능성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많이 발생하는 실수는 아니더라도 실수가 발생했을 경우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실수의 발견이 더 중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존재유무의 확인이 목적인 경우

있느냐 없느냐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새로운 디자인에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재료가 있는지,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이미지가 있는지 등을 위한 조사가 이에 해당.

 

2)통시적, 공시적에 의한 구분

 

-통시적 조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조사/분석합니다.

연표, 로드맵 등에 의한 조사나 분석이 이에 해당.

 

-공시적 조사

어떤 대상과 그 주변과의 관계 등을 조사/ 분석

제품의 경우, 해당 제품의 특성과 시장동향, 경제상황, 경쟁사와의 관계 등의 조사, 분석이 이에 해당함.

 

 

3)조사범위에 의한 구분

 

-거시적 조사

어떤 조사 대상을 기분으로 거시적 관점으로의 조사를 말합니다.

어떤 사람을 조사하는 경우 사회 구성원, 민족적 특성, 인류학적 특성 등을 조사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미시적 조사

어떤 조사 대상을 기준으로 치밀하게 파고들어가는 조사를 말합니다.

어떤 사람을 조사하는 경우 유전자검사 등에 해당합니다.

 

4)조사방법에 의한 구분

 

-직접조사

조사자 스스로가 직접 조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관찰, 측정, 인터뷰, 앙케이트 등이 해당합니다.

 

-간접조사

문헌,자료 등을 활용하는 조사를 말합니다.

 

5)분석방법에 의한 구분

 

-정량분석

숫자 데이터 등을 통계에 의하여 분석하는 것입니다.

객관적이며 신뢰도가 있는 분석결과를 기대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정성분석

사람이 자신의 직관이나 판단에 의하여 분석하는 것입니다.

경험이나 통찰력 등에 의하여 결과의 내용이나 신뢰도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