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편 박정희 정부 [역사 벼락치기]
이승만 정부 (제 1 공화국)
이승만 대통령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86세의 권력욕이 어떤건지 국민들에게 몸소 일깨웠고
(대통령 48년 , 52년 , 56년, 60년)
이는 4.19혁명의 전국적인 확산에 불을 붙여쏙
4.19 혁명으로 12년의 장기집권의 막이 내렸다.
이승만의 하야로 탄생한 제 2공화국 장면 내각은
이승만의 독재를 반면교사로 삼아서
의원내각제로 개편했는데
이는 우리 역사상 유일한 의원내각제 체제로
총리의 힘이 컸을 때이기도 하다.
3.15 부정선거 관련 반민주 행위자들을 처벌하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세우기도 했으며
학생을 중심으로는 통일의 바람이 부는 등
12년 독재에서 벗어나
개혁과 자유주의를 향한
변화의 분위기가
사회 전반에 걸쳐 고조되고 있었다.
자연스러운 혼란기가 찾아온거임.
문제는 그 혼란기를 자신의 기회로 본 사람이 있었으니
5.16 쿠데타
쿠데타 이전의 박정희에 대한 잠깐 설명.
일제시기 일본 만주국의 중위로 활동
박정희 충성 혈서 중 내용 일부
"일본인으로서 수치스럽지 않을 만큼의
정신과 기백으로서 일사봉공의 굳건한 결심입니다"
빼도 박도 못하는 전형적인 친일파였는데
해방 이후에는 이승만이 극혐하던 '빨갱이'였음.
사형선고를 받았지만 동료를 팔아서 풀려나게 됨.
(박정희는 약 300명의 동료들이 체포되도록 증거를 제공했다.
그 대가로 그는 사형을 면했다.)
따라서 5.16쿠데타 당시에는 이러한 본인의 수치사(과거부정)를
덮기 위해 반공을 국시의 제1로 삼음
48년 정부수립 이후로
그때나 지금이나 제일 잘 먹히는 정치 카드는
'빨갱이'타령
북한 전쟁 공포
사회가 안정되면 군인들은 돌아가겠다고 했지만
4대 윤보선을 이기고 5대 대통령이 된다.
박정희정부(제3공화국)
굴욕외교라는 국민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박정희 정부는 한일기본조약을 맺는데
피해자입장은 1도 생각하지 않은 것이
박근혜 정부 위안부합의와....
미국의 요청으로 베트남 파병을 보내기도 하였다.
한일 기본 조약과 베트남 파병으로 받은 자금으로
'도시화'가 본격적 시작된 것은 바로 이때다.
한강의 기적 시발점.
성장에 포커스가 있었으므로
'재벌'이 등장하고 정경유착에 발동이 걸렸으며
도시 노동자들의 삶은 노예 마냥 비참해서
전태일 열사가 분신 자살하기도 했음..
한편 박정희는 이미 재선가지 했지만
대통령이 또 하고 싶었음.. ( 63년, 67년, 71년)
근데 이승만이 자기만 할 수 있게 해놨기 때문에
박정희는 3번 이상이 불가능 했지만
이번이 마지막이라며
박정희의 3선 도전이 시작되는데
김대중 후보의 인기는 장난이 아니었음.
하지만 박정희는 3선에 성공하게 됨.
이승만 때도 이런 비슷한 일이 있었는데
결국 조봉암은 사형으로 죽임을 당했었음.
박정희 역시 김대중의 인기에
엄청난 위기감을 느끼게 되고
김대중 남치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음.
(다행히 죽기 직전에 살아나서 그냥 납치사건이라고 불렸다고 함..)
사실 60년대 까지만 하더라도
북한이랑 박정희는 사이가 안좋았음.
애초에 5.16쿠데타 자체를
반공산주의 타이틀로 걸었으니까...
68년
김신조 무장공비 사건
북한에선 박정희 제거하러 사람을 보내기도 했고
실미도 684부대
질 수 없다 우리도 김일성 제거팀
69년
이렇게 남북이 갈등할 때
소련과 중국도 갈등하고 있었음
중국입장에서는
소련의 적은 곧 나의 소울메이트..!
71년
핑퐁외교로 미국과 중국이 급 친해지게 됨.
중국도 공산주의라 냉전이 완화된 느낌인데
박정희랑 김일성은 여기서 분위기 깨기가 좀 그렇게 됨..
72년
그래서 급 통일 타령을 하기 시작함.
하지만 평화 통일은
일단은 조국 건설 이후로 미루는
선건설후통일을 내세우면서
10월 박정희는 유신헌법을 발표한다.
그리고 곧바로
마치 짜고 친 것처럼
12월엔 김일성이 주체사상을 명문화 함
죽이니 살리니 하다가도
이럴때는 마치 한마음이 통하듯..
유신체제 (제4공화국)
유신체제에서는 긴급조치 발령 등으로
철저한 독재를 구축해 나갔고
죽을때까지 대통령이 가능하기도 했음.
하지만 이런 독재와중에도
지금까지도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는 이유는..
새마을 운동이나 통일벼와 같이
서민들의 공감을 사는 정책도 존재했기 때문.
독재하에 강력한 지지는 자연스러운 현상임..
박정희의 장기집권도 어느새 18년이나 됨.
79년
부산 마산에서는 시민들의 민주항쟁이 일어났으나
정부는 이를 계엄령으로 진압하려함....
타국의 대량학살 방식을 새겨 듣던 박정희는
10월 26일 여대생들과 음주가무를 즐기던 중
오른팔이던 김재규의 총을 맞고 사망한다.
18년의 박정희시대가 지나가고
드디어 대한민국 땅에서 독재는 끝인가 했지만..
역사흐름 다시 반복...
1.고조선
2.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3.삼국시대
4.통일신라&발해(남북극)
5.후삼국시대
6.고려왕조 500년
7.조선왕조 500년
8.개항기 & 개화기
9.일제강점기
10.미군정기(대한민국정부수립)
11.이승만 정부(제1공화국)
12.박정희 정부(유신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