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글은 3D에 관심도가 높고 레진공예에 관심이 많아 비슷한 계열전공자로서 쓴 글이기에 전문성이 크게 높진 않습니다.... 3D프린팅 후가공 과정 서포터 및 이물질 제거 -> 표면 가공 및 처리 -> 도색 및 마감처리 3가지 과정 (그 중 대부분은 분노의 사포질이 차지 한다고 함) 3D프린팅 출력을 하면 바닥지지대, 서포터등이 같이 출력됨. (출력물 형태, 장비, 출력 설정 등에 따라, 출력물 찌꺼기들이 같이 출력됨) 찌꺼기들은 커터칼, 라디오뺀치, 니퍼, 사포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도구는 자유선택이다. 표면 가공 및 처리 (후가공 장비 및 용액을 이용한 표면 처리) ABS등의 특정 재질이 아세톤 등의 용액에 잘 녹는다. 아세톤 바르기, 담드기, 훈증하기 등의 방식을 통해 표면 처리가 가능 용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