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독학하는_공부기록/한국사 쉽게 요약정리 11

“숫자 4는 신성했다? 우리가 몰랐던 진짜 역사 이야기”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사실은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거나, 우리가 알던 게 아님!오늘은 역사 속 흥미로운 사실들만 모아서재미+지식+반전까지 다 담은 잡학사전 한 편 드려볼게요.🥬 조선시대 김치는 빨갛지 않았다?지금은 고춧가루 범벅의 빨간 김치가 당연하지만,조선시대 김치는 사실상 동치미에 가까웠습니다.왜냐고요?고추는 임진왜란 이후에 들어온 작물이었기 때문!그리고 들어오고 나서도 한동안은 귀했기 때문에넣어도 통째로 넣는 수준이었고, 지금처럼 양념 범벅은 아니었어요.💡 그럼 언제부터 우리가 아는 김치가 생겼냐고요?구한말~일제강점기쯤 양념형 김치가 등장하지만 70년대까지도 고춧가루는 부잣집 전유물서민들의 김치는 여전히 연한 소금물 중심💬 요약하자면, 지금의 빨간 김치는 '역사적으로는 꽤 최근 발..

임진왜란의 발발 계기 [일본의 배은망덕]

자 일본이 한국을 과거 왕의 나라로 섬겼으나 임진왜란때 왜 돌아섰는지 팩트로 때려줌 사진으로 보이는 이 묘석은 백제 왕인박사의 묘다. 1733년 당시 영주였던 쿠카이 마사토시가 영암의 왕인묘를 바탕으로 건립했다.라고 쓰여있다. 또 오사카부에서는 왕인 묘역을 사적지로 지정해 관리해 오고 있다고 함. 심지어 저곳 안내판에는 왕인박사가 고분시대 전기인 4세기 말에 한반도의 백제국으로 건너왔다고 적혀있음. 고대로부터 학문의 조상님으로서 존경 받아왔다라고 기록되어있음. 그리고.. 뛰어난 유전자도 전파했음.. 백제 무령왕의 자손인 다카노 나이카사가 일본 제 50대 칸무천황의 생모라고 역사적 사실이 있음. 1970년대에는 지방 유지들이 헌금을 모아 백제왕 신사도 건립했음,, 기원전 시대부터 근대 18세기까지 일본은 ..

9편 마지막 부분 김영삼/ 김대중 정부 [역사 벼락치기]

80년 광주 시민들을 무력 진압, 잔인하게 살해한 뒤 81년 전두환은 대통령의 자리에 오른다. 87년 독재정권의 대한 시민들의 투쟁(6월민주항쟁)으로 직선제 개헌에는 성공하지만 진정한 민주정권의 길이란 멀고도 험한 것. 그래도 장장 40년에 걸친 독재의 시기를 버티고 독재와 민주정권 사이인 과도기도 지나서 전두환 노태우와는 또 다른 의미의 뭐 가 온다.. 박정희에 이어 전두환, 노태우는 어디까지나 군사 반란군 세력이지만 김영삼과 김대중은 그 연결고리를 끊어냈다. 54년 김영삼 51년 서울대 철학과 졸업 54년 국회의원 당선 26살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 이승만의 독재가 끝나니 박정희가 오고 역시나 장기집권을 꿈꾸며 3선 개헌을 함. 박정희 3선 개헌에 강력하게 반대하다가 초산(질산)테러를 당하기도..

8편 전두환/ 노태우 정부 [역사 벼락치기]

박정희는 김재규의 총에 박정희 18년 독재가 끝이 났다. 최규하정부 ( 서울의 봄) 79년 박정희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대통령이 되지만 12월 12일 군사 쿠데타를 통해 실권은 신군부 전두환에게로 넘어간다. 하나회는 군대 내 불법 비밀 사조직으로 박정희의 지원 아래에서 세력을 키워 왔는데 박정희의 사망소식을 듣고서 이 하나회 일원들이 쿠데타를 일으킨 것 516 군사 쿠데타 1212 군사 쿠데타 이 시기를 '서울의 봄'으로 칭하는데 민주화운동이 넘쳐 났던 체코의 '프라하 봄'에서 따온 말임. 이승만 12년... 박정희 18년... 건국이래 계속된 독재에 대한 시민들의 분노 신군부(전두환)세력에 저항하여 시민들은 '서울의 봄'을 성공시키고자 했음. 하지만 지금은 모두가 알고 있는 5월의 ..

7편 박정희 정부 [역사 벼락치기]

이승만 정부 (제 1 공화국) 이승만 대통령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86세의 권력욕이 어떤건지 국민들에게 몸소 일깨웠고 (대통령 48년 , 52년 , 56년, 60년) 이는 4.19혁명의 전국적인 확산에 불을 붙여쏙 4.19 혁명으로 12년의 장기집권의 막이 내렸다. 이승만의 하야로 탄생한 제 2공화국 장면 내각은 이승만의 독재를 반면교사로 삼아서 의원내각제로 개편했는데 이는 우리 역사상 유일한 의원내각제 체제로 총리의 힘이 컸을 때이기도 하다. 3.15 부정선거 관련 반민주 행위자들을 처벌하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세우기도 했으며 학생을 중심으로는 통일의 바람이 부는 등 12년 독재에서 벗어나 개혁과 자유주의를 향한 변화의 분위기가 사회 전반에 걸쳐 고조되고 있었다. 자연스러운 혼란기가 찾아온거임..

6편 이승만 정부 [역사 벼락치기]

제 6공화국 19대 12번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을 나타내느 여러 숫자들 역대 대통령은 총 12명인데 대체 왜 19대라고 하는 거?? 3명의 인물이 대통령을 여러 번 했기 때문이다... 그럼 공화국은 무엇인지? 공화국 숫자는 통치구조가 바뀔때 바뀜 따라서 대통령 여러번 한 사람이 뭔 짓을 할 때 바뀜 독재라던가? 독재라던가 독재라던가.. 고로 3인방 이승만 / 박정희 / 전두환 이 트리오가 우리 현대사에서 매우 중요함. 1948년 8월 15일 1910년 일본의 국권 피탈 이후 38년 만에 되찾은 '우리' 정부 대한민국 민주공화국이 수립되었음. 이승만 정부 제 1공화국 정부 수립 후 국회에선 제일 급한 두 가지부터 했음. 1.반민족행위 처벌법 2.농지 개혁법 우선 반민족행위 처벌법부터 살펴보셈 미군정으로 ..

5편 미 군정기 [역사 벼락치기]

1945년 8월 히로시마 나가사키 두 차례의 원폭을 맞은 일본은 그로부터 6일 뒤 무조건 항복을 선언한다. (자 잠깐 질문 일본의 식믽지로부터 벗어나면 그때부터 자동으로 대한민국이 되는 건가?) 당연히 노노 국회를 만들고 / 헌법을 제정하고 / 대통령을 뽑고 일련의 이런 시스템을 거치고 난 다음에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거임. 45년 8월 15일 식민지 해방 = 광복 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3년동안 공백기가 있네?? 라고 생각할거임 이제 그 3년을 정리를 해보려고함. 다시 돌아가서 두차례의 원폭을 맞은 일본은 그로부터 6일 뒤 무조건 항복을 선언한다. 6일동안 일본은 패망준비를 하기 시작하는데 그 중 하나는 조선에서 자국민의 안전한 탈출이었음. 35년동안 한 짓이 있었으니 ....

4편 일제강점기 [역사 벼락치기]

1910년대 .. 국권피탈과 동시에 조선총독부도 들어섰다. 그와 더불어 헌병경찰통치의 시대였다. 헌병은 쉽게 군인 경찰을 의미하는데 전쟁과 같은 국가 비상사태 마냥 총칼을 차고서 헌병들이 일반 경찰처럼 평소 돌아다니는 거임. 일상생활에서 공포 분위기 조성은 물론이며 선생들도 총칼을 차고서 수업을 했음. 이 헌병 경찰들에게는 즉결심판권이 주어졌다. 즉결 심판권 =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그 자리에서 즉시 처벌 할 수 있는 권리. 3.1운동 당시에도 이 즉결심판권으로 조선인들의 귀를 자르고 태형을 행했다. 1910년대의 경우 이렇듯 국내 경비가 워낙 삼엄해서 독립운동의 기반을 닦기가 너무 힘들었음. 그래서 대부분 독립운동기지가 국외에 세워지는 계기가 된다. 우당 이회영도 전재산(약 600억)을 처분한 ..

3편 개항기 ~ 개화기 [역사 벼락치기]

영조 & 정조 조선 후기 18세기 (1724-1800) 조선 후기, 불꽃이 새롭게 살아나던 시기 이때만 해도 조선의 미래는 기대해볼만 하다고 함... 순 & 헌 & 철 조선 후기 19세기 전반 (1800-1863) 하지만.. 영정조를 이은 순헌철종은 전혀 왕 노릇을 못하고... 조정은 세도가문의 손아귀에서 철저히 놀아났다...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했던 시기를 가장 한심하게 보낸 나라였을 각...) 그 와중에도 일반 백성들은 알아서 잘 커나가고 있었음 상업도 기술도 의식도 올라가는데 사회구조가 변화를 못받쳐줌.. 그때 19세기 전반 주변국의 상황은??? 당시 중국은 영국과 아편전쟁을 치루고 있었고 일본은 미국에게 강제 개항 이후 메이지 유신을 준비중이었다..!! 이때 우리나라 조정은 매우매우 속터지는짓거..

2편 고려시대~ 조선시대 [역사벼락치기]

고려말 원 간섭기 귀족들 사치 / 부정부패 맨날 일어나고~ 지금으로 따지만 칠인파와 마찬가지인 친원세력들의 기세가 하늘을 찌름 고려왕조500년은 이렇게 망국의 길로 내려감. 공민왕은 새출발을 위해 신돈같은 뉴페이스를 등용했지만 심폐소생술에 그치는 수준... 궁극적인 개혁에는 사실상 실패. 이를 지켜보는 새로운 세력이 있었는데 바로 신진사대부=어벤져스 고려 왕 중심 개혁을 깝깝하게 지켜보는 사람 = 정도전 = 사실 상 조선 건국의 실세 당시 슈퍼 스타 장군이던 이성계를 왕으로 앞세우고 새나라 조선을 설계. 분위기 파악 못하고 고려고려 타령하던 정몽주는 선죽교서 칼맞고 주금.. 조선왕조 500년 역사 천재 정도전... 600년 전에 민본정치의 큰 틀을 세운 정도전! (백성이 가장 귀하고 군주는 가장 가볍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