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는_디자인정보/디자인_편집디자인

안내책자 분석 [디자인포함]

@Design Hae 2021. 12. 7. 11:56
728x90

카다로그를 봤을때 제품에 대한 이해가 

바로 가야함..

 

뭔가 왼쪽 단면에 이런식으로 전체 시뮬컷이 들어간게 더 제품에 대해 바로 이해가 감..

? 가로카다로그인가 -> 확실한건 시중의 책의 형태가 세로형이라 편리함이 덜함

? 세로카다로그인가 -> 확실한건 시중의 책의 형태가 세로형이라 읽는때의 행동변화가

                              불편하지 않음.

 

 

카다로그 = 기업의 책자 ( 분량 제한 없 )

 

브로슈어 = 설명, 광고, 선전 따위를 위해 만든 얇은 책자

(분량 제한 있 / 재질, 인쇄, 제본 등이 일반소책자보다 고급스러운 것이 특징)

 

팸플릿 = 설명이나, 광고, 선전 따위를 위해 얄팍하게 맨 작은 책자 

(하드커버 제본이 들어가지 않은 책자 / 여러번 접힌 종이를 간단하게

책의 형태로 만든것 / 5페이지 이상~48페이지 이상 넘으면 안됌. / 

이 이상으로 넘으면 책으로 분류)

보통 장수가 적은 리플렛과 혼용하여 많이 사용.

 

리플릿= 설명이나 광고, 선전 따위의 내용을 담은 종이쪽이나 얇은 책자가 리플렛.

(팸플릿보다 더 간략 / 행사등을 알리는 1매짜리 홍보물 / 보통 a4사이즈 종이를 

2번 접어 만든 3단 리플릿)

 

보통 카드 만들거나 관리비종이? 이런 가로형태로 왔었는데 요즘에 모바일카드사는 종종 세로형 으로 제작하기도 함

 

 

 

아무래도 탬플릿보다는 내용분량이 적다보니 재질 제본 과정에서 그 정체성을 표현하려고 구상한게 보임...

 

 

리플릿디자인 ..!! 각각 단면에 정보+정체성을 표현하려고 하다보니 심미성이 높아진것을 확인할수있다.

 

 

 

 

 

확실한건 얇고 내용분량제한이 커질수록 심미성은 높아진다.

728x90

'★공유하는_디자인정보 > 디자인_편집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프린팅 제작 방법  (0) 2021.12.09
3D프린팅 후가공 과정  (0) 2021.12.09
친환경 패키지란  (0) 2021.11.18
편집디자이너란  (0) 2021.10.22
공연포스터 잘 만드는 방법  (0) 2021.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