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는_디자인정보/디자인_편집디자인

3D 프린팅 제작 방법

@Design Hae 2021. 12. 9. 10:19
728x90

3D 프린터 = 얇은 두께로 한 층씩 차례대로 쌓아 올리면서 3차원의 입체 형사을 구현하는 제작 방법.

 

국내에서는  FDM , SLA, SLS, Polyjet 방식이 주로 있음.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or fused filament fabriocation의 약어

사출 성형의 원료로 사용되는 펠릿을 가공하여 만든 필라멘트라고 부르는

롤 형태의 소재를 사용하여 압출하는 방식.

 

국내를 넘어 전세계적으로 가장 보편화된 3D프린팅 제작 방식.

비교적 단순한 매커니즘과 유지 보수 및 운용이 쉽고 간편함

(산업현장은 물론 교육, DIY 등 범용성 넓게 활용되고 있는 적층 가공 방식)

 

주로 활용되는 원료로는  PLA,ABS,PVC,HIPS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커피 찌거기, 페플라스틱을 활용한 재생소재 분야에서도

3D프린팅 기술이 접목되어 각광받고 있음.

 

(주로 디자인 검증이나 간단한 테스트를 위한 샘플 제작 용도로 많이 사용됨)

 

SLA

stereolithography의 약어.

레이저와 같은 일정 파상 이상의 빛을 받으면 액체 상태에서 경화되어

고체화 되는 성질을 가진 광경화성수지(레진)을 이용한 3D프린팅 제작 방법.

 

FDM 방식의 3D프린터 출력 방식의 한계로 지적되는 여러 가지 단점들을

크게 보완하고 폴리젯방식에도 적용되고 있는 만큼 기대 가치가 큰 3D 인쇄기술.

 

(주로 단순 외관 확인을 위한 샘플 제작에 주로 활용 / 정밀한 작업이 요구된느

피규어와 같은 모형 제작 산업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