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대한민국은 6공화국, 문재인은 12번째 대통령, 그런데 19대 대통령?
✔️ 이유는 한 사람이 여러 번 대통령 했기 때문
👉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공화국이란?
👉 헌법 체계가 바뀔 때마다 바뀜
따라서 독재, 쿠데타, 개헌 등 정치 체제가 바뀌면 ‘공화국 숫자’도 바뀜
🏛️ 1. 1948년 8월 15일 – 대한민국 수립 (1공화국 시작)
📌 이승만 = 제1대 대통령
국회가 제일 먼저 처리한 2가지
① 반민족행위처벌법
→ 친일파 청산의 시작
→ 하지만 이승만 + 친일 세력 + 미군정의 이해관계로
→ 반민특위 해산 / 친일 청산 실패
② 농지개혁법
→ “내 땅이 생긴다!”
→ 농민의 지지를 받고 월북 방지 효과도 있음
⚔️ 2. 1950년 6월 25일 – 한국전쟁 발발
-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
- 이승만: 시민 버리고 도주 → 한강다리 폭파
- 북한군, 부산을 제외한 전역 점령
- 맥아더 장군 등장 → 인천상륙작전 대성공!
- 북진 → 압록강 코앞 → 중국군 개입 → 흥남철수
- 1953년 정전협정 체결, 3년간의 전쟁 종료
→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 주한미군 주둔 계기
🧾 3. 전쟁 중 개헌과 권력욕 – 이승만의 헌법놀음
✏️ 1952년: 발췌개헌
- 대통령 직선제로 변경 → 이승만 재선 성공
✏️ 1954년: 사사오입개헌
- 중임제 제한 철폐 → 이승만 3선 가능
(정족수 부족했지만, 억지로 통과시킴)
⚖️ 1956년: 3선 성공,
- 조봉암 급부상 → 보안법 위반으로 사형
⚠️ 4. 1960년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이승만 4선 시도
- 마산에서 김주열 열사 최루탄 사망 → 분노 확산
- 4.19 혁명 폭발 → 이승만 하야 → 하와이 망명
🏛️ 5. 제2공화국 (1960~1961) – 의원내각제의 실험
- 총리 장면 중심의 내각책임제 도입
- 최초로 대통령이 명예직 역할
- 그러나 정치 혼란 + 개혁 실패 → 국민 실망
🪖 6. 1961년 5.16 군사정변
- 박정희 등 군부 세력이 쿠데타
→ 제2공화국 붕괴
→ 제3공화국으로 넘어감 (다음 편에서 설명)
🧭 최종 요약 타임라인
연도사건
1948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승만 1대 대통령) |
1950 | 6.25 한국전쟁 발발 |
1953 | 정전협정 / 한미상호방위조약 |
1952 | 발췌개헌 (직선제) |
1954 | 사사오입개헌 (3선 가능) |
1960 |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1960~61 | 제2공화국 의원내각제 (장면 총리) |
1961 | 5.16 군사정변 (박정희 등장) |
다시 역사 반복
1.고조선
2.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3.삼국시대
4.통일신라&발해(남북극)
5.후삼국시대
6.고려왕조 500년
7.조선왕조 500년
8.개항기 & 개화기
9.일제강점기
10.미군정기(대한민국 정부수립)
11.이승만 정부(1공화국)
728x90
'★독학하는_공부기록 > 한국사 쉽게 요약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벼락치기 8편] 5공화국 전두환부터 6공화국 노태우까지 – 민주주의로 가는 길 (0) | 2021.12.29 |
---|---|
[역사 벼락치기 7편] 이승만에서 박정희까지, 독재와 개발의 현대사 핵심 요약 (0) | 2021.12.29 |
[역사 벼락치기 5편] 해방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 | 1945~1948 핵심 요약 정리 (0) | 2021.12.27 |
[역사 벼락치기 4편] 일제강점기부터 광복까지 | 핵심 흐름 총정리! (0) | 2021.12.22 |
[역사 벼락치기 3편] 조선 말기부터 대한제국 멸망까지, 개항기 핵심 정리! (0) | 202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