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하는_공부기록/한국사 쉽게 요약정리

임진왜란의 발발 계기 [일본의 배은망덕]

@Design Hae 2022. 3. 22. 20:11
728x90

자 

일본이 한국을 과거 왕의 나라로 섬겼으나

임진왜란때 왜 돌아섰는지 팩트로 때려줌

 

 

사진으로 보이는 이 묘석은 백제 왕인박사의 묘다.

 

1733년 당시 영주였던 쿠카이 마사토시가

영암의 왕인묘를 바탕으로 건립했다.라고 쓰여있다.

 

또 오사카부에서는 왕인 묘역을 사적지로 지정해 관리해 오고 있다고 함.

 

심지어 저곳 안내판에는 왕인박사가 고분시대 전기인 4세기 말에

한반도의 백제국으로 건너왔다고 적혀있음.

 

고대로부터 학문의 조상님으로서 존경 받아왔다라고 기록되어있음.

 

그리고.. 뛰어난 유전자도 전파했음..

백제 무령왕의 자손인 다카노 나이카사가 

일본 제 50대 칸무천황의 생모라고 역사적 사실이 있음.

 

1970년대에는 지방 유지들이 헌금을 모아

백제왕 신사도 건립했음,,

 

기원전 시대부터 근대 18세기까지 

일본은 한반도를 통해

 

벼농사, 철과 종이의 생산 기술, 불교,

한의학 등 선진 문화를 전수 받았다.

 

이후로도 한반도를 통해 도자기, 활자, 주자학 등이 추가로 전해짐

 

이렇게 지식과 지혜를 전수해줌으로써

고대에서 18세기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에서는 일본을 왜로 불렀다.

 

왜란 ? 작고 미개해 보잘것 없다라는 뜻

 

 

역사상 단 한번도 한반도보다 우세한적이 없던 일본은

조총이라는 무기로 왕의 땅으로 추앙하던 한반도를 배신하고 침략하기 시작함.

 

그 배신의 시작이 바로 임진왜란임.

 

어디서 모자란것들 가르치고 선심쓰고 

그래도 이웃나라라고 같이 잘살자는 마인드로

대하니까 통수를 때린시작이 바로 이 시기임.

 

 

 

 

 

 

 

728x90